24.09.25.
- 지표에 대한 이해
* 잠재고객 설정 방법
1. GA - 좌측 하단 '설정(톱니바퀴)' 클릭 - '데이터 표시' 클릭 - '구축' 클릭
2. 우측 상단 '새 잠재고객' 클릭 - '새 잠재고객 만들기'로 시작
* ex) GA 머천다이즈 데모 계정 내 데이터 자료를 통한 고객 데이터 분석
세션 당 비용(CPC) : 총비용/세션수
사용자 1명 당 비용(UAC) : 총비용/총 사용자
사용자 1명 당 수익(ARPU) : 총 수익/총 사용자
거래 1건 당 비용(CPA) : 총비용/구매
거래 1건 당 수익(AOV) : 총수익/구매
거래를 한 사용자 비율 : 거래를 한 사용자/총 사용자
거래를 한 세션 비율 : 거래를 한 세션/세션 수
거래를 한 사용자 당 수익(ARPPU) : 총 수익/거래를 한 사용자
* 용어, 계산 방법 정리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 수에 따라 광고 비용을 계산하는 방식 계산 방법: 총 획득 비용 / 클릭 수 LTV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고객이 기업과의 관계에서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총 매출 계산 방법: LTV = ARPU x (1 / 이탈률)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 투자 수익률. 광고를 통해 얻은 매출 대비 광고 비용의 비율 계산 방법: (해당 광고로부터의 매출 / 광고 비용) x 100 UAC (User Acquisition Cost): 사용자 획득 비용. 새로운 사용자를 획득하는 데 드는 비용 계산 방법: 총 마케팅 비용 / 획득한 사용자 수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당 평균 매출. 사용자가 기업에 기여하는 평균 매출 계산 방법: 총 매출 / 총 사용자 수 CPA (Cost Per Acquisition): 획득당 비용. 새로운 고객을 획득하는 데 드는 비용 계산 방법: 총 마케팅 비용 / 신규 고객 수 AOV (Average Order Value): 평균 주문 금액. 고객이 한 번의 거래에서 지출하는 평균 금액 계산 방법: 총 매출 / 총 주문 수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유료 사용자당 평균 매출. 유료 사용자가 기업에 기여하는 평균 매출 계산 방법: 총 유료 매출 / 총 유료 사용자 수 |
소감
1. D-99
이제 2025년이 99일 앞으로 다가왔다고 한다. 뭐했다고 이렇게 올해 금방 지나가나 싶지만, 하반기에 새싹에서 열심히 하고 있으니까 시간 가는 줄도 모르는거겠지 싶다.
2. 이것도 역지사지인가...?
상당히 엉뚱한 생각이긴한데, 오늘 수업을 들으면서 문득 부모님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요즘 그런 얘기가 있지 않은가. 50대 이상부터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서 주문을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고. 우리 부모님도 마찬가지다. 가게에서 키오스크를 한 번 시도해봤다가 실패한 이후로 쳐다도 보지 않는다. 그리고 시니어 세대가 으레 그렇듯 온라인 주문도 어려워한다. 그래서 최근에도 멀리 있는 나에게 가끔 카톡으로 연락해서 영양제를 대신 온라인 주문해달라고 말했다. (그래서 문득 떠올랐나보다.)
대신 무언가 일을 처리해드리면서 느끼는 거는, '분명 내가 어렸을 때는 직접 홈쇼핑에서 물건 주문도 잘하고 컴퓨터도 잘 썼던 거 같았는데 왜 갑자기 잘 하던 것도 못하게 되었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르쳐주면서도 '아니, 조금만 의식해서 기억하면 할 수 있을것 같은데 도와주니까 자꾸 의존하게 되는건가... 어떻게 하면 기억나게 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 들었다. 이해를 하더라도 막연히 '뭐 잘 못하는 이유가 있겠지...' 하고 넘어가기 마련이다.
그냥 처음 다뤄보는 무언가가 앞에 맞딱뜨리면 사람이 당황하게 되고 원래 잘 하던 것도 안되기 마련이라는 걸 깨달았다.
(그렇다고 멘토님이 내가 부모님을 대하듯 한다는 건 아니다. 정말 친절히 가르쳐주신다.)
그래서 결론은
1. 😂
2. 시니어의 온라인 구매 경험에서 이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이트 수정이 필요할까?
'1교시 - 대학생활 꿀팁 > 대외활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4기] 전Z전능 디지털마케터 과정 8주차 - 콘텐츠 기반 커뮤니티 마케팅 (6) | 2024.09.27 |
---|---|
[용산4기] 전Z전능 디지털마케터 과정 8주차 -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0) | 2024.09.26 |
[용산4기] 전Z전능 디지털마케터 과정 8주차 - 나만의 자기소개서 만들기 (0) | 2024.09.23 |
[용산4기] 전Z전능 디지털마케터 과정 7주차 - 인터랙티브한 채널 만들기 (0) | 2024.09.23 |
[용산4기] 전Z전능 디지털마케터 과정 7주차 - 상세페이지 디자인 (0) | 2024.09.20 |